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뚱냥이/재태크, 경제

(2023 #89) 위기의 역사 | 오건영

by 뚱냥아빠 2023. 10. 21.
반응형

 

 

위기의 역사

대한민국 최고의 거시경제 전문가 오건영 저자는『위기의 역사』를 통해 과거의 위기에 대해 통찰의 시각을 제공한다. 그는 과거의 불안했던 시기에 조금 더 깊이 있는 지식을 갖게 된다면, 앞

www.aladin.co.kr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현재를 재 해석하고,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지에 대한 지혜를 얻는다.

이 책은 그러한 위기의 역사들을 기록하고, 현재의 문제들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 지에 대한 지혜를 얻기 위한 책이다.

 

그렇게 안 되길 정말 바라지만...

지금은 70년대 오일쇼크와 이후의 인플레, 그리고 20%가 넘는 살인적인 금리로 이어지는 그때와 점점 닮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중동문제가 어떻게 해결이 되느냐에 따라 유가가 큰 폭으로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그 전에 코로나오 인하여 풀어버린 이 유동성이... 인플레를 계속 자극하고 있다.

 

아마도 70년대 중동전쟁, 그리고 미국의 계속되는 돈풀기 등으로 한번 불을 당긴 인플레와 지금이 너무도 닮은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그때는 어떻게 되었나?

결국...20%가 넘는 기준금리 인상을 하였고,

경제는 파탄이 났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내몰리게 되었다.

그렇게 경제가 파탄이 난 후에야 인플레가 잡혔다.

 

과연 지금도 그렇게 될까?

아마도 그렇게 되면 주식이고 부동산이고... 자산시장은 박살이 날 것이다.

채권도 이정도면 되겠지... 하고 샀던 채권들이 다 박살이 날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은 아무래도 디레버리징을 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너무 욕심 내지 말고, 위기 관리를 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지금의 이 위기를 잘 헤쳐 나가는 지혜를 이 책에서 말하는 여러 위기들의 역사를 잘 살펴서 얻을 수 있길 바란다.


p39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해서 우리나라 경제는 큰 변화를 겪었죠. 외환위기로 인해 기업의 설비투자가 큰 폭으로 축소되었고, 이는 실업 대란과 함께 장기 저성장 기조를 낳았습니다. 저성장을 메우기 위한 유동성 공급이 있었지만, 주요 자금의 수요처라고 할 수 있는 기업의 투자 대출 수요가 줄어들면서 금리 역시 하락세를 나타내게 되었죠. 기업으로 흘러가지 못한 자금이 가계와 부동산으로 쏠리면서 가계 부채의 급증과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야기했습니다. 기업의 만성적인 투자 부진, 일자리 부족, 가계 부채 증가, 그리고 부동산 버블 우려에 이르기까지... 지금 겪고 있는 우리 경제의 문제점들은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시작된 것입니다.

 

p208

하락장의 초반에는 연준의 긴축이 오래 가지 않을 것라는, 연준은 긴축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결국 괜찮아질 것라는 시장의 자신감에 계속해서 강한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죠. 그리고 조금이라도 더 안전한 주식으로의 자금 쏠림이 나타나면서 기술주 중 인텔 같은 대형주는 점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00년 4분기로 접어들면서 높아진 금리로 인한 경기 둔화 부담과 과도하게 비싸진 주가 등을 배경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되고, 나스닥 지수는 2000년 연말에 연중 기록했던 고점 대비 반토막을 기록하게 됩니다.

 

p260

앞서 제가 겪었던 두 번의 경제위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위기의 극단에서는 모든 자산을 내던지는 이른바 '셀링 클라이맥스'가 나타나는데, 그때의 분위기를 함께 전해 드렸죠. 금융위기의 한복판에서는 단순히 주가만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환율 및 금리의 급등, 그리고 극단적인 달러 현금 선호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위기를 직접 겪어보신 분들은 '달러가 무섭다'는 말에 공감하실 겁니다. 그래서 달러가 약세를 보이는 시기에 달러를 조금씩 사 모아두곤 하죠. 위기 상황에서 제대로 빛을 발하는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예비 수요가 외환위기, 금융위기, 그리고 코로나19 등을 거치면서 조금씩 더 강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p459

1970년대가 주는 교훈은 지금 당장의 인플레이션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이 고질병으로 변화했을 때에는 장기적인 충격에 신음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