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년4 2024.02.26, D+7 : 안식년의 목적 안식년을 가지고 있다. 흔히 말해 육아휴직. 사실, 그냥 쉬면 참 좋기만 할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생각보다 아내가 은근 신경전이 많다. 아무래도 계속 같이 있게 되고, 그럼에서 오는 긴장감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보다도 은근 스트레스가 있다. 일단 재정적인 부분에 대한 것이다. 아무리 돈을 모아 놓고 육아휴직을 냈지만, 그래도 일정한 인컴 캐쉬가 없다는 것은 상당한 스트레스가 된다. 어떨 때는 "그냥 써~"이러다가, "아니 이렇게 막 써도 되" 두가지 마음에서 왔다 갔다 하는 마음이 상당한 스트레스이다. 두번째는 "내가 뭐하고 있지.." 라는 존재론 관점의 스트레스이다. 그냥 시간만 허비하고 있는 듯한 생각이 드니, 참으로 스트레스가 된다. 그러면서 들은 생각이... 이 기간 동안 '주의 일.. 2024. 2. 27. D+6 : 기회비용 이번 달 마지막? 월급이 들어왔다. 물론 1달 전체가 들어온 것이 아니라, 이번 달 급여 중 육아휴직 전 기간까지만 잘라서 나왔다. 정확히 얼마가 나왔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회사 시스템에 접속하여 급여 명세서를 확인하였다. 급여명세서만 확인하였음 좋았겠건만... 그만, 메일도 확인을 하게 되었다. 메일에는 뜻밖의 메일이 와 있었다. 연차로 따지면 나보다 한두해 정도 후배에 속하는 친구가 리더쉽 평가를 받게 된 것이었다. 차기 팀장 후보가 된 것이다. 내가 팀장이 되고 싶으냐? 하면... 그것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여지껏 계속 조기진급을 해 왔었는데, 뭔가 내가 누군가에게 밀렸다는 느낌이 드니 기분이 묘했다. 육아휴직을 하지 않았음, 저 자리는 내 자리였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된다. 물론 아닐 가능성이.. 2024. 2. 25. D-2 : 나는 왜 육아휴직을 하게 되었나! 많은 회사 사람들이 물어본다. "왜 육아휴직해?" 사실, 물어볼만도 하다. 왜냐하면 자녀가 어린게 아니라 육아휴직을 할 수 있는 최대 연한인 초등2학년제 재학 중이기 때문이다. 사실... 육아에 대한 부담 때문에 육아휴직을 한다고 말하기에는 솔직히 믿는 사람도 별로 없을 것이고, 나 스스로에게도 떳떳하지 못한 답이긴 하다. 그럼 왜? 입사 초로 시간을 거슬러 보자면, 나는 안식년을 가지는 것이 꿈이었다. 그래서 목사님, 교수님 등 안식년 제도가 있는 직종이 너무나도 부러웠다. 그래서 언젠가는 안식년을 가리라! 하는 마음과 함께 꼬박 꼬박 월급의 10%씩을 안식년 펀드로 저축을 하였다. 그렇게 저축을 하던 내 안식년 펀드는 무럭 무럭 자라왔는데... 결혼을 하고, 아이가 태어나고, 집을 장만할 시기가 다가.. 2024. 2. 17. 육아휴직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육아 휴직... 사실, 이것을 쓸 것인가 말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는 사실만으로도 나는 복 받은 것이다. 지금 나는 아주 그냥 복에 겨운 고민을 하고 있는 중이다. 사실, 육아 그 자체만을 위한 육아휴직이 아니다. 이미 아이는 훌쩍 커서 초등 2학년이다. 게다가 나는 외벌이이다. 그래서 육아 때문만에 휴직을 고민하려는 것은 아니다. 사실상, 이제 육아 휴직을 쓸 수 있는 마지막 데드라인에 다가오고 있기에 고민 하는 것이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 막연히 꿈꿔왔던 것이 있다. 그것은 교수님, 목사님들처럼 "안식년"을 가지는 것이다. 그것을 위하여 입사 1년차부터 차곡 차곡 돈을 모아 갔다. 그런데 그 돈을.... 지금 살고 있는 집 구매를 하면서 털어 써 버렸다...ㅡㅜ 이렇게 나의 안식년... 육아휴직은 .. 2023. 5.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