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뚱냥이/인문, 사회, 문화, 종교

(2023 #100) NEW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60선 25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by 뚱냥아빠 2023. 11. 30.
반응형

 

 

NEW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60선 25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서울대생들이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을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해하기 쉽도록 만화로 만든 인문고전 입문서이다.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의

www.aladin.co.kr

 

언제고 한번 읽어야지.. 했던 막스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이렇게 만화로 구성되어 있는 책으로 보게 되었다.

 

읽으면서 참 잘 정리가 되어 있다는 생각과 함께, 만화가 아닌 원본을 한번 봐 바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의 뿌리가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것에 있어서 그 뿌리가 바로 프로테스탄트 윤리에서 왔다는 것을 주장하는 책이다.

 

일단 이 책을 보면서 알게 된 것이 이 책이 나오게 된 계기가 바로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반하여 이 책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베버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특성이

1. 일(노동)하는 것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것이다.

2. 정직하고 근면한 노동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 인생의 최고 목표이다.

3. 감정의 동요에 따라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경계하고 1분 1초까지도 이성으로 잘 계획해서 반드시 그 계획대로 실천하는 생활을 한다.

4. 노동을 통해 돈을 더욱 많이 벌기 위해 쾌락, 행복, 즐거움 등을 포기하고 쓸데없는 휴식과 게으름을 물리친다.

5. 돈을 모으기 위해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한다.

 

자본주의 = 돈이 최고라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 이것은 천민자본주의이다.

이 책에서는 그 자본주의의 배경이 되는 프로테스탄트의 개념과 그 배경에서 나온 자본주의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자본주의는 단순히 돈을 최고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돈을 생산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으로 여기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개념에서 출발한 소명, 현세적 금욕주의, 예정론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 속에서 자본주의가 발현 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특히 노동에 대하여 마르크스와 상당히 다른 관점을 이야기 하는데,

마르크스는 자본가의 착취 관점으로 노동을 봤다면, 베버는 소명의 관점에서 이 세상에서 유혹을 이겨내는 과정 속에서 이 노동을 바라보고 있다. 즉, 신의 영광을 증대시키는 수단이 직업 노동이라고 바라보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책의 가장 뒷 부분에 나온 내용이 개인적으론 인상적이었다.

자본주의가 성공함에 따라 '기계처럼 일하는 전문가'가 세상을 지배할 것이라 베버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일부' 사람들이 쾌락만을 추구하면서 살아갈 거라고 생각했다 한다.

그런데 다니엘 벨은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이라는 책에서 자본주의가 성공함에 따라 '마음이 메마른 향락가들'이 다수의 세력이 되어 자본주의의 질서를 파괴하고 제멋대로 쾌락을 추구하며 살아갈 것이라 이야기를 하고 있다.

벨은 자본주의가 성공할수록 보헤이만 기질의 낭만주의 문화가 매우 급속하게 자라나 자본주의 정신을 파괴할 것이라고 보았다.

 

어쩌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이 두가지 모습이 같이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욜로족으로 대표되는 이생망을 외치며 현재의 쾌락만을 추구하는 사람들....

그리고 Fire로 대표되는 보헤미안 기질의 낭문주의 문화로 인하여

근면히 노동을 하는 것을 어리석게 보고, 지금의 행복과 즐거움을 유예하는 행위를 바보처럼 여기는 문화가 상당히 팽배해 있는 거 같다.

게다가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는 것에 대해 점차 이해하지 못하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의 소비자본주의에 있어 소비가 미덕일 수 밖에 없기는 하지만,

지금의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은 조금은 걱정이 많이 되는 상황이 아닐까? 하고 이 책을 보면서 생각이 들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