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뚱냥이/자기계발

(2023 #33) 나는 해낼 수 있다 | 보도섀퍼 지음, 박성원 옮김

by 뚱냥아빠 2023. 3. 29.
반응형

 

 

나는 해낼 수 있다

보도 섀퍼가 자신의 인생을 토대로 쓴 책으로, 저자의 인생과 그의 성공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교훈이 고스란히 녹아 들어가 있다. 평범한 인생을 살던 주인공 ‘카를’이 어느 날 일어난 자동

www.aladin.co.kr

흠...

이 책은 나는 해낼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하여

자의식, 자신감, 자아존중, 자아상

이 4가지 개념에 대해 소설 형식으로 풀어 쓴 책이다.

사실, 개인적으론 이렇게 소설로 풀어 쓰다 보니

약간 억지스럽기도 하고 잘 공감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오히려 더 몰입이 잘 되지 않았던 거 같다.

과연 무엇인가를 해내는 힘이란 무엇인가?

이런 종류의 책들은 참 많은 거 같다.

그리고 읽어보면 어찌 보면 다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 거 같다.

그럼에도 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마도 두가지 이유 안에서 정리가 될 수 있을 거 같다.

1) 이런 책에서 제시되는 이야기들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인한 보편 타당한 이야기가 아니거나

2) 법칙은 맞다 하더라도 보통의 사람들이 실천하기에는 넘사벽

인 경우일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 실천하지 못해서일 것이라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룬다는 것은 그 말 안에 이미 "한다."라는 것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고,

보통의 사람들은 이 "한다."를 될 때까지 잘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의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 책으로 다시 돌아와 보자면...

이 책에서 여러 부분 잘 공감되긴 어려운 부분들이 많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기"라는 사람이 나오는 대목은 굉장히 공감이 됐다.

사람이 지금까지의 삶과 다른 삶을 살려고 애쓰고, 변화를 하면

그 변화에 사람들이 반응해주고 박수를 쳐주기보다,

"네까짓게.. 왜?" 또는 "뭔 다른 꿍꿍이가.?" ,"니가 얼마나.." 등등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부정적인 피드백들이 많다.

이 부분을 이런 시선들을 우리가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처음의 그 변화를 꾸준히 해 나갈 수 있게 하는 힘이라 생각을 한다.

"나를 지지해 주는 사람과 함께 하는 것"

이것이 어쩌면 변화와 무엇인가를 이루어 가는 것엘 핵심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p73

"진정한 재능을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은 두 가지다. 한 가지는 그 분야와 관련된 모든 일을 매우 빨리 습득하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그 일을 매우 좋아하는 것이다."

p115

'자존감' 즉 '스스로가 인정하는 자신의 가치'와 '남들이 인정해주는 자신의 가치'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자네는 무엇을 근거로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하는가? 남들이 그렇게 말해주어서? 아니면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껴져서? 남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면 자네는 '자신의 본질'을 포기하는 것일세. 자신의 '진정한 모습'편에 서게."

p229

"어떤 사람들과는 우리가 아무런 발전도 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물어 있어야만 잘 지낼 수 있어요. 이런 사람들은 당신이 예전에 비해 달라지고 강해지면, 당신의 그런 변화를 불편해하지요. 이런 사람들은 당신이 달라지고 강해지면 마치 당신이 자신들에게 거울을 들이밀고 '넌 지금 뭘 하고 있니?'라고 추궁한다고 여기지요. 하지만 이들은 어떤 노력도 하기 싫어하고, 단지 편안하게 지금 그 자리에 머물고 싶어 해요. 이런 사람들에게 있어 변화를 모색하는 당신은 눈엣가시 같은 존재지요. 그렇기에 이들은 지금의 당신과 함께 있는 것이 그다지 편안하지 않을 거예요."

p275

"우리도 모두 겪을 일일세. 포기라는 유혹에 빠져본 적 없이 위대한 일을 해낸 사람을 나는 한 번도 본 적 없다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거야. 많은 이들은 사랑을 저버리는 결정을 내리지. 자신의 열정을 저버리는 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두려움에 무릎을 꿇고 말아. 이런 일은 자의식에 관한 세 가지 질문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아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내가 해낼 수 있을까? 나는 사랑받을 만한 사람인가? 나는 누구이고 어떤 사람인가? 이제 중요한 질문 하나를 해보겠네. 만일 어제 포기했더라면 지금 자네가 행복할 것 같은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