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만2

(2023 #97) 연결된 위기 | 백승욱 지음 연결된 위기 우리가 처한 제약이 무엇인지 명확히 인식하려는 두터운 노력의 산물이다. 그와 동시에 더 많은 정보와 깊이 있는 이해로 무장한다면 상이한 역사 경로를 찾아낼 수 있을지에 관한 사고 실험이 www.aladin.co.kr 우리는 사물을 바라볼 때 너무나도 쉽게 일반화를 하곤 한다. 그렇게 일반화를 해야 복잡 다난한 이 세상에서 조금은 삶의 난이도가 낮아지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일반화를 해도 되는 것이 있고, 일반화를 하면 큰일 나는 것이 있는데... 저자는 바로 후자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후 세상은 많은 것이 변하고 있다. 특히나 대만과 한반도의 긴장감이 점점 더 고조되어가고 있다. 게다가 이스라엘.. 중동까지 세상은 다시금 야만의 시대로 돌아가고 있는 것은 .. 2023. 11. 27.
(2023 #35) 중국은 어떻게 실패하는가 | 마이클 베클리, 할 브랜즈 저, 김종수 옮김 중국은 어떻게 실패하는가 세계는 지금 가장 위험한 10년을 통과하고 있다! 미국은 어떻게 중국을 봉쇄하고 압박하는가? 중국은 왜 내부에서부터 무너지는가? 새롭게 형성된 신냉전 국제 질서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읽 www.aladin.co.kr 이 책은 번역하신 김종수 교수님께서도 이야기 하셨지만, 미국인에 의한, 미국을 위한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미가 있는 것은, 미국의 대외관계 전략가들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있고, 그 전략 안에서 우리의 위치에 대해서 그려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 있어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일본, 독일은 동아시아와 유럽에 있어 핵심 안보 축이다. 에치슨 라인과 같이, 한국은 본래 미국의 구상 안에 있던 나라가 아니다. 정말 우연의 결과로 남한.. 2023. 4. 1.
반응형